본문 바로가기
라떼의 일상, 정보, 그리고...

트렌드 코리아 선정 2022년 대한민국 10대 트렌드 상품

by 라떼아트* 2022. 12. 1.
반응형

트렌드 코리아 선정 2022년 대한민국 10대 트렌드 상품

 

서울대학교 김난도 교수와 그의 팀이 매년 조사해 발표하고 있는 '트렌드 코리아'가 올해도 발표되었습니다. 책에서 2022년을 대표한 상품 10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2022년 10대 트렌드 상품

 

 

1. K-콘텐츠

 

'오징어 게임'에 이어 '지옥', '종이의 집: 공동 경제구역 Part1', '수리남'을 제작한 콘텐트리중앙은 2021년 한 해에만 연말 결산 기준 6,771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고 합니다.

비영어권 국가로서 세계 콘텐츠 시장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뤄낸 데에는 세계인의  한국의 국가 이미지와 문화 수준에 대한 호감도 상승과 OTT 서비스의 확대가 꼽힙니다.

 

오징어 게임
오징어게임

 

 

2. 비대면 플랫폼

 

코로나 사태 이후 비대면 서비스 수요 유지와 비대면 서비스의 확장을 지원하는 정책적 노력에 기반합니다. 

 

 

3. 캐릭터 기획 상품

 

올해 최대의 히트 상품중 하나인 포켓몬 빵은 1999년 첫 출시 이후 여섯 번째로 제출시된 상품으로 편의점 오픈런을 불러올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캐릭터 기획 식품의 인기가 식을 줄 모르는 이유는 소비 생활에서 '득템력'이 중요해졌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렇게 득템한 상품을 중고시장 플랫폼에 되팔아 재테크를 할 수 있다는 점 또한 큰 역할을 한 것 같습니다.

 

포켓몬빵

 

 

4. 상담 예능

 

예능에 '상담'을 더한 콘셉트가 대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금쪽이 신드롬'을 불러일으킨 오은영의 금쪽 상담소가 대표적인 프로그램입니다. 출연자와 패널과의 자연스러운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전문성 있는 고민 해결에 대한 신뢰를 형성으로 단숨에 인기작 반열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금쪽같은 내새끼
금쪽같은 내새끼

 

 

5. 친환경 포장

 

분리배출이 용이한 친환경 포장재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졌습니다. 이는 MZ세대를 필두로 '필환경' 소비 트렌드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인 듯합니다. 

 

 

6. 제로 음료

 

주류 시장에서도 당질을 최소화한 저열량 제품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함으로써 맛과 건강을 모두 잡을 수 있는 제로음료를 마시며 건강을 관리하는 라이프스타일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7. 이색 주류

 

가성비에서 가심비로 변화된 주류 선택 기준과 혼자 마시는 혼술, 집에서 마시는 혼술 문화가 확산된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8. 셀프사진관

 

즉석사진관의 대표주자인 '인생 네 컷'은 2022년 7월 '증명 네 컷'과 프로필 사진을 새롭게 출시하면서 사진으로 추억을 기록하는 놀이 문화를 형성하였습니다. 요즘 10대 20대 들은 즉석사진 촬영이 일상인 듯합니다.

 

 

9. 새치 샴푸

 

새치 샴푸 열풍의 중심에는 젊게 살고 싶은 4060 세대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품의 안정성 논란은 소비자를 주춤하게 합니다.

 

 

10. 도심 근교 대형 카페

 

소비자들이 초대형 카페로 몰리는 가장 큰 이유는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가벼운 '국내 여행'이 일상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삭막한 도시 생활에서 벗어나 도심 근교에서 새로움을 찾는 현대인의 문화생활 거점인 '초대형 카페'는 차별화된 콘셉트가 적용된 카페 공간의 매력으로 그 인기는 더욱 높아질 전망이라고 합니다. 대형 카페 나들이는 저도 무척 공감 가는 내용입니다. 예전에 비해 많이 볼 수 있고 자주 가는 편이거든요.

 

 

#트렌드 코리아 선정 2022년 대한민국 10대 트렌드 상품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