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순환의 뜻과 특징
오늘은 경기순환의 기본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기순환이란?
경기란 국민경제의 총체적인 활동 수준을 의미합니다. 경기순환이란 총체적 경제활동이 경제의 장기 성장추세를 중심으로 상승과 하강을 반목하며 성장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경기국면 분류
확장국면: 경기저점에서 정점까지 경제활동이 활발한 국면, 회복+활황
수축국면: 경기정점에서 저점까지 경제활동이 위축된 국면, 후퇴+침체
순환주기: 저점에서 다음 저점까지, 또는 정점에서 다음 정점까지의 기간
순환진폭: 정점과 저점간의 차이로 순환의 강도
기준순환일이란?
국민경제 전체의 순환변동에서 국면 전환이 발생하는 경기 전환점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 경기정점과 경기저점이 발생하는 월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순환일은 통계청에서 GDP, 산업생산 등 개별지표와 경기지수의 움직임을 분석한 후 관련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사후적으로 결정합니다.
경기순환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한가지는 확장국면이 수축국면보다 훨씬 길었다라는 것입니다. 즉, 경기라는게 '좋아질 때는 서서히 오래 좋아지고 나빠질 때는 경사가 깊게 빨리 나빠진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확장국면이 평균 31개월, 수축국면이 18개월 이었습니다.
일본의 경우는 평균 36개월, 19개월로 우리나라와 거의 비슷합니다.
미국은 평균 경기 확장국면 45개월, 수축국면이 15개월으로 확장국면이 훨씬 길었습니다. 그 이유는 아주 긴 확장국면이 2번 있었는데, 1960년 대 106개월, 1990년 대 120개월로 아주 긴 확장국면이 있었고 이것이 평균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최근에 미국에서 가장 큰 논의가 되는 것은 2009년 6월이 미국경기가 저점이었고 현재까지 경기 확장국면이 진행되고 있고 그렇다면 확장국면이 언제까지 지속되고 언제 수축국면에 들어서는가 입니다.
경기순환의 특징
경기순환의 특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요즘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것은 이자율입니다. 단기 이자율은 경기순응적(경기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이고 장기 이자율은 그 정도가 낮습니다. 금리를 알면 모든 경제현상을 이해했다고 할 정도로 장단기 금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경기가 좋으면 단기적 소비투자가 늘어나고, 정책당국은 금리를 올리므로 단기금리가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금리를 올리면 올릴 수록 미래 소비투자는 줄어 들게 됩니다. 따라서 장기금리는 못 오르거나 떨어 질 수 가 있습니다. 금리를 계속 올림으로써 단기금리는 올라가는데 장기금리는 떨어져서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는 주식투자에 신중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06년 2월에 장단기 금리가 첫 역전되고 2007년 1월에 미국경기가 정점을 찍고 그 뒤로 미국주가가 49% 폭락한 적이 있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시기
1989년 1월 첫 금리 역전 - 1990년 7월 경기침체 구간 진입
2000년 2월 첫 금리 역전 - 2001년 3월 경기침체 구간 진입
2006년 2월 첫 금리 역전 - 2007년 12월 경기침체 구간 진입
경기지표의 변동 요인
(1) 계절요인: 일년 동안 계절에 따른 주기적 변동
(2) 불규칙요인: 천재지면, 파업 등에 따른 단기적, 우발적 변동
(3) 추세요인: 인구증가, 자본축적, 기술진보 등에 의한 장기적 추세. 장기적으로 우상향
(4) 순환요인: 경기의 상승과 하강에 따른 변동 요인
이 중 비경기적 요인인 계절 및 불규칙 요인을 제거한 추세, 순환치 또는 순환변동치가 이용되고 경제지표는 시간이 흐를 수록 장기적으로 증가합니다. 추세요인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므로 결국 순환요인을 가지고 경기가 좋아진다 나빠진다를 판단합니다.
#경기순환의 뜻과 특징
'라떼의 일상, 정보, 그리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드뱅크란? (6) | 2022.04.04 |
---|---|
채권 금리와 가격 (2) | 2022.04.04 |
주택연금 신청 방법 (2) | 2022.04.02 |
달러 투자 - 다섯번째 이야기 (달러 투자 방법 3가지) (2) | 2022.04.02 |
달러 투자 - 네 번째 이야기 (미국 증시가 버블 인데 달러를 사는 게 말이 되는가?) (2) | 2022.04.01 |
댓글